분류 전체보기 (98) 썸네일형 리스트형 1. NBP 공부 - Load Balancer 출처 - https://docs.ncloud.com/ko/networking/networking-3-1-v2.html 설명서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의 상품 사용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제공하고, 다양한 API의 활용을 돕기 위해 [설명서]와 [API 참조서]를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Load Balancer API 참조서 바로가기 >> Loa docs.ncloud.com 2. GSLB 공부 - GSLB는 어떻게 돌아가는가? 0. GSLB의 서버/사이트 선택 정책 (GSLB Policy) ① Server Health - 살아있는 사이트 선택 ② SLB Session & Network Capacity Threshold - 과부하 상태가 아닌 사이트 선택 ③ Network Proximity - 응답 속도가 빠른(Low Latency) 사이트 선택 ④ Geographic Proximity - 지리적으로 가까운 사이트 선택 ⑤ SLB Connection Load - 새로운 연결 요청이 적은 사이트 선택 ⑥ Site Preference - 운영자의 정책에 의해 특정 사이트 선택 ⑦ Least Selected - 균등하게 사이트 선택 ⑧ Static Load Balancing - 균등하게 사이트 선택 1. Server Health SL.. 1. GSLB 공부 - GSLB는 무엇인가? 1. GSLB 특징 # GSLB 특징 참고사항 1 Disaster Recovering 특정 서버가 다운되면 우회한다 2 Site Load Balancing 서버의 Load상태를 고려한다 3 Network Proximity Latency(RTT)를 고려한다 4 Geographic Proximity 지역을 고려한다 GSLB 특징으로 얻을 수 있는 이점 4가지 : (1) 서비스 가용성 제공 (Disaster Recovery) (2) 서버 부하 분산 (Server/Site Load Balancing) (3) 빠른 서비스 응답 (Low Latency by Network Proximity) (4) 가까운 곳으로 접속 (Nearest by Geographic Proximity) 2. GSLB 서버 로직 GSLB(Gl.. 4. POD 1. 기본 개념 쿠버네티스는 파드라는 단위로 컨테이너를 묶어서 관리한다. 아래와 같이 각 컨테이너마다 역할을 부여하여 관리하는것도 가능하다. 역할 부여의 예 웹 서버 로그 수집기 볼륨 컨테이너 파드하나에 한개의 아이피를 공유하며 각 컨테이너와 통신할때는 포트를 이용하여 접근한다. 2. 파드 설정 파일로 POD 사용하기 pod-sample.yaml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kubernetes-simple-pod labels: app: kubernetes-simple-pod spec: containers: - name: kubernetes-simple-pod image: arisu1000/simple-container-app:latest ports: - con.. 3. 쿠버네티스 개념 1.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전체 구조 마스터 etcd, kube-apiserver, kube-scheduler, kube-controller-manager, kubelet, kube-proxy, docker 등의 컴포넌트가 실행된다 etcd Key Value 저장소 이자 데이터베이스 역할을 한다. 서버 하나당 프로세스 1개만 사용 가능하다 kube-apiserver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AP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컴포넌트이다. 클러스터로 온 요청이 유효한지 검증 서버 여러 대에 여러개 실행 가능 kube-scheduler 현재 클러스터 안에서 자원 할당이 가능한 노드 중 알맞은 노드를 선택해서 새롭게 만든 파드를 실행한다. kube-controller-manager Pod들을 관리하는 Control.. 2. 쿠버네티스로 컨테이너 실행하기 1. Kubectl https://kubernetes.io/ko/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설치 방법 공식사이트 참고 기본 사용법 kubectl [command] [TYPE] [NAME] [flags] 2. Kubectl 사용예제 (Echoserver 만들기) Echoserver라는 Pod 생성 kubectl run echoserver --generator=run-pod/v1 --image="k8s.gcr.io/echoserver:1.10" --port=8080 Eschoserver 서비스 생성 (쿠버네티스의 Pod들이 접근할 때 필요함) kubectl expose po echoserver --type=NodePort Pod상태 확인 kubectl get pods Se.. 1. GCP Instance 만들기 및 SSH 접속 1. Instance 만들기 https://console.cloud.google.com/compute https:// cloud.google.com/compute/docs/?hl=ko (공식문서) 2. Local Machine에서 SSH 접속하기 Key 생성 : ssh-keygen -t rsa -C "구글계정명" 아래의 스크린샷과 같이 해당 Instance에 공개키 등록 (Comopute Engine > Metadata > SSH Keys에도 등록 가능) 접속 : ssh -i [Private 키 파일] 계정@호스트명 MAC Alias 등록 vi ~/.bash_profile > Alias 입력 source ~/.bash_profile Linux Alias 등록 vi ~/.bashrc > Alias 입력 s.. 1. 쿠버네티스 관련 설정 및 설치 1. GCP 설정 Compute Engine 활성화 https://console.cloud.google.com/compute https:// cloud.google.com/compute/docs/?hl=ko (공식문서) Instance 5개 살리기 OS : Ubuntu 16.04 LTS 유저는 SSH를 통해 Instance1에 접속하게 할것이며 나머지 Instance는 Instance1을 통해 접속하게 할것이다 SSH 공개 키 등록 및 접속하기 https://velody.tistory.com/47 Instance에 Key 생성 및 Public Key 등록 ssh-keygen -t rsa cat .ssh/id_rsa.pub을 통해 공개키 복사 Instance 2~5에 public key만들기 설정을 모두 .. 이전 1 ··· 4 5 6 7 8 9 10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