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네트워크

5. [라우팅] IS-IS

용어

  • Intermediate System (IS) = Router
  • End System (ES) = Network Host
  • Designated Intermediate System(DIS) = 하나의 LAN에 연결되어 있는 Router 중, 해당 LAN을 대표해 선정되는 하나의 Router
    • OSPF의 DR과 동일하다
    • Pseudo Node를 만들 임무를 가진 노드
    • LAN에 하나만 있으며 Backup DIS는 없다
    • DIS 선정 방법은 
      1. LAN IIH내에 있는 Priority 값이 가장 큰 라우터부터
      2. 만약 같은 Priority라면 Source MAC 주소가 가장 큰 것이 DIS가 된다.
  • Pseudo-node = Link-State 정보에 LAN을 표현하기 위해, DIS에 의해 만들어지는, LAN을 나타내는 가상의 Node.
    • 결국 Adjacencie 링크의 효율을 위하여 사용된다(사진 1 참고)
  • Network Service Access Point(NSAP) = Network Layer Address (IP주소, OSI CLNP주소, etc.)
  • Subnetwork Point of Attachment(SNPA) = Datalink Interface(Ethernet Port, POS Interface, etc.)
  • Link State PDU(LSP) = Routing Information packet used in IS-IS

사진1. Pseudo-Node로 인해 Node간 Adjacency양이 줄어듦으로 효율이 좋아짐

 

IS-IS의 계층적 Routing

  • Level-1
    • Area 내부의 망 간의 Routing
  • Level-2
    • 다른 Area에 속한 망으로의 Routing(Inter-Area Routing)
  • L1 IS 
    • Level-1 Routing을 수행하는 라우터 (= L1 Router)
    • L1 라우터는 자기 area 내부의 network 경로만 알고 있다.
    • 자신이 모르는 경로로의 라우팅이 요구되면 자신에게 가장 가까운 L2 라우터에게 패킷을 전달한다.
  • L2 IS
    • Level-2 Routing을 수행하는 라우터 (= L2 Router)
    • L2 라우터는 각 area에 속한 주소들을 알고, 각 area의 border에 위치한 L2 라우터에게 패킷을 Forwarding한다
  • L1/L2 IS
    • L1 라우팅과 L2 라우팅을 모두 수행하는 라우터 (= L1/L2 Router)
    • L2 라우터의 각 인터페이스는 특정 Area에 소속될 수 있으며, 그 경우 해당 Area내에서는 L1 라우터로서의 역활도 한다.

 

Area Type #1 - Level 2로만 구성된 Area가 없는 경우

  • Level과 Area는 Interface별로 설정 된다 (Area의 경계는 라우터 간 링크가 될 수도 있고, 라우터 자체가 될 수도 있다).

  • 아래의 그림과 같이 Level별로 Neighbor가 존재하며 Level별로 Link-State PDU가 다닌다.
    • Route Calculation도 Level별로 따로 수행된다.

Area Type #2 - Level 2로만 구성된 Backbone Area가 있는 경우

 

 

Level 간 Routing 정보 교환

  • L1 Routing을 통해 얻어진 모든 Network Prefix는 L2 IS 간에 모두 전달된다.
    • 모든 L2 IS는 IS-IS Domain내의 모든 IP Network를 알고 있다.
  • L2 IS는 LSP내부에 Attach Bit(ATT bit)를 1로 줌으로 모든 L1 Router에게 외부 Area에게 연결되어 있음을 알린다.
  • 만약 2개 이상의 L2 Router가 있다면 가장 가까운 L2 Router쪽으로 Default 게이트웨이를 잡는다.

 

OSI Addressing

  • 모든 IS는 하나의 OSI Address를 가지며 여러 Area를 가진 경우 Area별 Address를 가진다.
    • 하나의 Address로 여러 인터페이스에 사용 가능하므로 인터페이스별로 OSI Address를 할당할 필요가 없다.

IS-IS PDU 종류

  • Hello 
    • Neighbor를 발견하기 위해 사용
    • 살아있음을 서로 확인 하기 위해 사용
  • LSP (Link-State PDU)
    • Router 정보를 실어 나르는 패킷 (어떤 Neighbor 또는 IP Network와 연결되어 있는지 등을 나타낸다.)
    • LSP-ID를 검사해 기존 DB에 있는 LSP인지 확인한다(없으면 DB에 추가)
    • LSP-ID를 통해 이미 존재하고 있는 LSP라면 Sequence Number를 확인해 최신 버전인지 확인한다
      • Sequence Number의 최고치는 42억이므로 대략 681년 까지 걸린다 (30초의 인터벌이 있다는 가정하에)
      • 만약 42억이라는 최고치까지 간다면 1부터 다시 시작한다. 다만 1사용 전 LSP Aging-Out이 될 때까지 기다린다.
    • LSP 발생시기
      • Adjacency, Circuit Up/Down
      • Interface, Reachable Address, Area Address, System ID, DIS 변경
      • Overload 상태에 들어가거나 해제되었을때
      • 주기적 LSP Refresh
  • CSNP (Complete Sequence Number PDU)
    • 각 라우터의 LSP들의 목록을 담고 있는 패킷
      • 이 목록에는 구체적인 Routing정보는 들어있지 않고 전체적인 내용만 들어있다 
        • E.g. LSP-ID, LSP-Lifetime, Sequence Number, Checksum
      • CSNP를 수신한 라우터는 이 식별 정보만을 가지고, 그 LSP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자신이 모르고 있는 LSP에 대해서만 Request 한다)
        • Start LSP-ID & End LSP-ID = 이 PDU에 담겨있는 LSP 정보의 범위를 나타냄
  • PSNP (Partial Sequence Number PDU)
    • CSNP와 다르게 전체 LSP 목록이 아닌, 원하는 일부의 LSP 목록만을 받는다.
    • 다른 라우터로부터 수신한 LSP에 대한 ACK의 용도로도 사용됨.
    • PDU Lengh = 전체 PDU길이를 나타냄

 

Hello의 2 Ways Handshaking VS. 3 Ways Handshaking

2 Ways Handshaking

 

3 Ways Handshaking

'Infra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면접 예상질문 정리  (0) 2020.07.21
02. 기초 - 스위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0) 2020.07.21
4. [라우팅] OSPF  (0) 2020.07.18
[Packet Tracer] 2. OSPF 설정  (0) 2020.07.18
[Packet Tracer] 1. 기본 셋업 명령어  (0) 2020.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