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패닝 트리 프로토콜이란?
스위치내의 루핑을 막기 위해 두개이상의 연결이 설정되어 있다가 평시 하나만 남기고 다 닫아 놨다가
만약 열어놨던 연결이 문제가 된다면 다른 연결을 하나씩 열어 놓는다.
스패닝 트리의 기본동작
- 네트워크당 하나의 루트 브리지(Root Bridge)를 가진다
- Root Bridge를 선정하기위한 단계
-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 누구의 BID(Sender BID)가 더 낮은가?
-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 Root Bridge를 선정하기위한 단계
- 루트 브리지가 아닌 나머지 모든 브리지(Non Root Bridge)는 무조건 하나씩의 루트 포트(Root Port)를 가진다
- Path Cost가 가장 적은 포트를 선출한다
- 세그먼트(Segment)당 하나씩의 Designated Port를 갖는다
- Root Port가 Segment에 있다면 항상 Root Port는 Designated Port로 선정된다
- Designated Port를 선정하기위한 단계 (Root Bridge 선출 방식이랑 똑같음)
- 누가 더 작은 Root BID를 가졌는가?
- 루트 브리지까지의 Path Cost 값은 누가 더 작은가?
- 누구의 BID(Sender BID)가 더 낮은가?
- 누구의 포트 ID가 더 낮은가?
Bandwidth (대역폭) | STP Cost(Path Cost) |
4 Mbps | 250 |
10 Mbps | 100 |
16 Mbps | 62 |
45 Mbps | 39 |
100 Mbps | 19 |
155 Mbps | 14 |
622 Mbps | 6 |
1 Gbps | 4 |
10 Gbps | 2 |
'Infra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VPN 정리 (0) | 2020.07.21 |
---|---|
면접 예상질문 정리 (0) | 2020.07.21 |
5. [라우팅] IS-IS (0) | 2020.07.19 |
4. [라우팅] OSPF (0) | 2020.07.18 |
[Packet Tracer] 2. OSPF 설정 (0) | 2020.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