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ra/네트워크

면접 예상질문 정리

자기소개

지원동기(왜 이 회사인가)

이 회사가 뭐하는 회사인가

나만의 강점

지원한 직무에 대한 나의 경험

 

행동관련

1. 네트워크 관리 업무는 종종 당신이 주도적으로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는 상황이 많이 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신은 어떻게 팀 환경을 조성하고, 다른 사람의 조언을 수용할 것인가?

2. 모든 방법을 다 시도했는데도 네트워크가 여전히 작동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대처하겠는가?

3. 네트워크 엔지니어에게 있어서 가장 큰 도전이라면 어떤 일이라고 생각하는가?

4. 당신이 압박이 심한 상황에서 일했을 당시에 어떻게 대처한 경험이 있는가?

비기술 관련

1. 당신은 왜 네트워크 엔지니어를 희망하는가?

2. 당신의 강점과 약점이 있다면 무엇인가?

3. 우리 기업이 당신을 채용해야할 결정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역할 관련

1. 업계 혁신 업체를 유지하기 위해 어떤 리소스를 사용합니까?

2. 네트워크 리소스를 제공하는 동안, 개발팀을 비롯한 다른 이해 관계자와 어떤식으로 협력했는가?

3.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어떤 안전장치를 사용하겠는가?

4. 전에 작업한 네트워크 설계도를 그려보고 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겠는가?

5. 당신이 설계했던 네트워크 중에 가장 규모가 크며 복잡했던 네트워크는 무엇이었는가?

6. 네트워크 구성에서 예상되는 결과값을 못 냈을 때, 이에 대한 문제 해결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가?

기술 질문

1. 가장 선호하는 라우팅 프로토콜이 있다면 무엇인가?

2. 시스코 장비와 비 시스코 장비를 연결해야 한다면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은 어떻게 작업해야 하는가?

3. Ether-Channel이 무엇인지 알고 있는가?

4. 루트 브리지란 무엇이며 어디에 사용되는가?

5. VPN 연결이 무엇을 의미하며 어디에 사용하는지 알고 있는가?

 

잡 플래닛 과장급 네트워크 엔지니어 질문

1. 시스템 구축 과정

2. VPN PPTP

 

기타

1. OS 뭐 다룰 줄 알아요? 리눅스 배포판 버전에 따른 차이가 어떻게 되죠?
2. 라우팅 테이블 읽을 줄 아세요?
3. L4 스위치와 L7 스위치의 차이가 뭐가 있어요?
4. 웹 서버 접속이 안되면 뭘 확인해봐야죠? 어떤 절차로 확인해야 하죠?

  • 뒤에 선연결 여부와 in, out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
  • 눈으로 특별한 디스크 에러에 불이 들어오는지 확인
  • 내부로 들어가 포트, http 요청등으로 어느 구간에서 에러가 뜨는지 확인
  • 만약 특정 VIP만 접속이 안된다면
    • 외부에서 nc -w 5 -v IP 80을 통해 일시적인지 아니면 실제 접속이 이루어 지지 않는지 확인
    • 정말 안된다면 직접 접속해 디스크상태 확인
      • ifconfig로 설정된 IP와 Ethernet확인
      • Ethtool Eth0
      • /etc/sysconfig/network-scripts로 해당 Seq의 VIP설정이 되어있는지 확인

5. 서버가 느리면 뭘 확인해야 하나요?

  • Network Traffic, TCP Connection
    • ifconfig -s : 모든 포트의 패킷 수
    • ethtool -S eth0 : eth0에 해당하는 모든 트래픽 정보
    • cat / proc/net/dev: 모든 포트의 트래픽 정보
    • netstat -i
  • CPU & Usage, Load Average, Memory Usage, IO Stats
  • Requests, Node Traffic, SSL Service, SSL RPS
    • ps -ef
    • iostat -x 2 10
    • 디스크 장애 확인 및 진행 방법
      • 디스크 제거
        • dmesg | grep rror
        • df -h <- 해당 디스크가 어느 볼륨에 mount 되어 있는지 확인
        • vi /etc/fstab <- 장애 디스크 주석처리
        • 시스템적으로 오프라인 진행 후 서버 리부팅
      • 디스크 삽입 및 장애 재발 여부 확인
        • dmesg | grep rror
        • sudo /opt/MegaRAID/MegaCli/MegaCli64 -pdlist -aall | grep Count <- 어느 디스크에 얼만큼 카운트가 쌓여있는지 확인
          • 만약 카운트가 쌓여있다면 
            • sudo vi /var/cdn/http/cache0volumes.xml
            • 데몬을 살리고 장애 등록 후 온라인 전환
          • 만약 카운트가 안 쌓여있다면
            • vi /etc/fstab <- 주석 제거
            • mount /cache3
            • df -h 로 정상 mount 확인
  • LAL

 

 

STP 프로토콜이 무엇인가

BGP와 OSPF와 RIP의 차이가 무엇인가

TCP/IP가 무엇인가? IGMP, CGMP 차이점은 무엇인가

UDLD가 무엇인가

IPSec VPN OSI 7계층, TCP/IP계층이 무엇이고 둘의 차이가 무엇인가

 

네트워크엔지니어가 무엇인가

왜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하고 싶은가

 

 

'Infra >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로드밸런서  (0) 2020.07.21
VPN 정리  (0) 2020.07.21
02. 기초 - 스위치, 스패닝 트리 프로토콜  (0) 2020.07.21
5. [라우팅] IS-IS  (0) 2020.07.19
4. [라우팅] OSPF  (0) 2020.07.18